스마트 레이저 절단 타공 로봇이 3시간이 소요되는 인공 타공 시간을 4분으로 단축한다. 시각 검사 로봇이 고속 이미지 처리, 전방위 이미지 형성, 고속 정밀 포지셔닝, 결함이 있는 병 자동 제거를 실현한다. 웨이하이 위안항과기발전주식유한회사 생산 작업장에 들어서면 각종 스마트 장비가 빠른 속도로 운행되고 있다.

중국 국내 최고 수준의 스마트 경공업 플랜트 및 시스템 공급업체로 꼽히는 위안항과기는 곡물 원료 처리설비, 분쇄 사이징 설비, 압려 설비, 당화 설비, 바이오 발효 탱크 등 분야에서 업계 선두 지위를 차지했다. 특히 시장에서 가장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은 통합 스마트 제어 시스템인데 당화 발효 턴키프로젝트를 예로 들면 기술자는 제어실에 앉아 시스템 모니터링 스크린의 인간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맥주 양조를 완성하고 생산물자 운행 상황, 공법 파라미터 등을 완벽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후속적인 세척까지 전자동으로 완성할 수 있다.

스마트 장비는 선진 제조 기술, 정보 기술, 스마트 기술의 통합체이자 심층 융합체이다. 개발구는 스마트 장비 산업의 발전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으며 고품질의 내부 인큐베이팅, 고수준의 정밀화 투자유치를 동시에 추진하면서 산업의 혁신 활력을 지속 방출하고 있다. 현재 전반 개발구의 스마트 장비 산업 제품에는 주로 탄소섬유 생산설비, 복사 및 오프셋 인쇄 설비, 초음파 열량계, 자동 사격 점수 판정 시스템, 궤도교통 송풍기, 요동형 오일실린더, 수중 멀티기능 작업 로봇, 파이프 로봇 등 8가지 유형이 포함된다.

“지난 수년간 우리 회사는 ‘제품 판매’를 위해 솔루션을 제공하고 고객을 위해 스마트 경공업 플랜트 턴키프로젝트를 제공했으며, 솔루션 설계에서 제품 품질에 이르기까지, 또 공정 관리에서 A/S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모든 프로젝트의 특징에 근거하여 공법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일류의 턴키프로젝트를 제공했으며 현장 무인 당직을 실현하고 마스터 컴퓨터를 통한 집중 컨트롤의 현대화 생산 방식을 제공해 왔습니다” 웨이하이 위안항과기발전주식유한회사 왕스웨이 회장은 이같이 말하면서 현재 회사는 300여 건의 턴키프로젝트를 완성했는데 이중 원료 전처리 자동화 생산라인은 중국 국내 맥주 업계 시장에서 95%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며 첨단 바이오 발효, 의약 등 분야까지 확장되었다고 덧붙였다.

산업 규모의 지속적인 확대를 실현하려면 모든 기업이 혁신을 도모하고 다양한 각도로 전면적으로 발전해야 가능하다. ‘중국산’ 3,500미터 심해 작업 로봇, 지하 1만 미터 이내의 지질 구조를 탐측할 수 있는 NuSeis 무선 노드 탐사기……. 이러한 우수한 제품이 ‘시장에 출시’됨에 따라 일부 현지 기업은 창업에서 돌파, 돌파에서 분야별 선도의 길을 개척해 나갔다.

9월 말 기준, 개발구 내 스마트 장비 산업의 규모화 산업 기업 수가 35개에 달하여 2023년 말 대비 20.6% 증가했으며, 이중 개발구는 기업에 대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국가급, 성급 제조업 단일 항목 챔피언 기업 4개와 정전특신 중소기업 24개를 배출했다. 이러한 수량 증가세와 더불어 산업에 대한 투자 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됐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스마트 장비 산업의 규모화 산업 기업이 기술 개조에 대한 투자액이 18.3억 위안에 달하여 동기대비 150.7% 증가했다.

이 데이터는 기업 수량이 증가됨과 동시에 새 기술과 새 공법도 부단히 업그레이드되었고 개발구의 스마트 장비 산업의 기반이 날이 갈수록 더 튼튼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항공우주 분야의 자동 섬유 배치 설비를 개발한 광웨이정밀 등 ‘우수 기업’과 해양 스마트 장비 개발에 전념하는 팡더해양과기 등 ‘신예 기업’을 포함하여, 개발구의 스마트 장비 제조기업은 약속이나 한 듯 기업의 역량 강화와 성장에 주력하고 있으며 자동화, 집적화, 정보화를 강화하든, 기술 공략을 확대하든, 솔루션 공급을 증강하든 각자 다양한 과학기술 혁신 방식을 통해 산업의 ‘새로운’ 발전을 견인하고 있다.

개발구 경제발전국 관련 책임자는 “장비 제조업은 제조업의 ‘기둥’이라고 불리는 만큼 현재 개발구는 우수한 기업의 육성을 강화하고 디지털화 역량 부여, 과학기술 성과를 활용한 스마트화 추진, 품질 표준 브랜드로 가치 부여 등 ‘3가지 부여 행동’을 깊이 있게 추진하면서 기업의 신기술 공략, 신제품 개발에 조력하고 있으며 스마트 장비 산업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새로운 경쟁 우세를 형성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